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성승제 | - |
dc.date.accessioned | 2019-05-24T16:32:09Z | - |
dc.date.available | 2019-05-24T16:32:09Z | - |
dc.date.issued | 2018 | - |
dc.identifier.isbn | 9788966848447 | - |
dc.identifier.uri | https://www.klri.re.kr:9443/handle/2017.oak/5697 | - |
dc.description.abstract | Ⅰ. 배경 및 목적
▶ 통일후 법제도 대비의 필요성 ○ 통일이 현실화되는 것은 가까울 수도 있고, 아직 먼 일일 수도 있지만 ○ 법제도는 일조일석에 구체화되기 어려우며, 특히 토지 법제도는 중요 ▶ 통일후의 법정책의 준비 ○ 시간이 경과하여 자료가 소실되는 것을 막고 ○ 과거의 기록을 잘 정리하면서, 미래 즉 통일후의 법정책의 자료를 준비하고자 함 Ⅱ. 주요 내용 ▶ 통일 형태의 전망은 다양함 ○ 크게 본다면 대등 통일과 흡수 통일 유형의 2대분류에 포함되지 않을까 함 ○ 후자에 주목하여, 북한지역 토지의 남북한 분단 이전 소유자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견해를 개진함 ▶ 통일후의 법정책 ○ 만일 통일이 된다면, 그 후에 남한과 북한은 완전히 자유로운 상호 통신할 수도 있고, 약간 제한될 수도 있음 ○ 자유로운 상호 통신을 할지라도 남한과 북한이 별개의 법제도가 적용될 수 있음 ○ 남한에서 기왕에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법정책을 선택할 수 있다면, 통일이후 북한 지역에서 시행착오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음 ▶ 부동산에 대한 조세제도 법정책 ○ 토지는 한 나라의 국부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그에 대한 조세제도 법정책은 매우 중요함 - 한국은 OECD 회원국에 비교할 때, 지나치게 부동산보유세 비중이 낮으며, 반대로 부동산거래세 비중은 지나치게 높음 -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남 - 그럼에도 현재 성립된 이해관계 때문에 남한에서 부동산보유세 확대 법정책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음 ○ 만일 통일한다면, 별개의 법정책을 북한지역에 실행할 수 있음 Ⅲ. 기대효과 ○ 만일 통일이 된다면 필요한, 다양한 법정책적 견해와 자료를 제공함 ○ 학술적 자료 준비 및 제공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한국법제연구원 | - |
dc.subject.classification | 북한, 통일 | - |
dc.subject.other | 북한 | - |
dc.title | 통일과 토지의 법적 문제 | - |
dc.title | 통일 후 경제구조개선을 위한 토지조세법제 고찰 | - |
dc.title.alternative | Consideration of land tax law system to improve economic structure after unification | - |
dc.type | Research Report | - |
dc.identifier.localId | 65667 | - |
dc.rights.accessRights | 원문무료이용 | - |
dc.subject.keyword | 부동산 | - |
dc.subject.keyword | 조세법 | - |
dc.subject.keyword | 부동산 거래세 | - |
dc.subject.keyword | 부동산 보유세 | - |
dc.subject.local | 통일 | - |
dc.subject.local | 토지조세법 | - |
dc.type.local | 통일법제연구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성승제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 11
제1절 연구의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16 제2장 재산권과 시장경제 / 17 Ⅰ. 재산권 보장의 원칙과 제한 19 Ⅱ. 시장경제체제의 성격 20 Ⅲ. 자본주의적 경제질서가 아닌 경우 법제도: 로마법대전 21 1. 사람의 신분 23 2. 자권자와 타권자 25 3. 입양의 방법 26 4. 부 권 26 Ⅳ. 헌법과 시장경제 자본주의 27 1. 기본권들과 시장경제 자본주의 28 2. 시장경제와 법규범 30 제3장 경제질서, 해방후 수퍼인플레이션, 토지개혁 / 35 Ⅰ. 경제질서와 헌법 제119조 37 1. 토지의 경제비중 37 2. 헌법 제119조 38 Ⅱ. 수퍼인플레이션에 대한 오해와 중앙은행의 미흡성 39 Ⅲ. 토지개혁 결과의 회고 42 1. 토지개혁의 길항작용 42 2. 해방전: 일제 전시 인플레이션 43 3. 해방후∼한국전쟁 수퍼인플레이션 44 4. 초인플레이션: 토지개혁 미명 하에 실질상 토지압류 47 제4장 통일시 북한 토지제도/ 49 Ⅰ. 세계대전 이후 동아시아의 입지와 농지개혁들 51 Ⅱ. 한반도의 농지개혁과 토지혁명 54 1. 농지개혁과 토지혁명의 구별 54 2. 수퍼인플레이션: 남한 지주도 실질적으로 무상몰수 54 3. 학설상 분기 55 Ⅲ. 소 결 61 제5장 결론: 통일후 북한 토지 과세 법제 / 63 Ⅰ. 남한 농지개혁과 통일후 북한토지의 취급 65 Ⅱ. 현재 한국 부동산과세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67 Ⅲ. 통일후 북한지역 토지 및 부동산보유세 비중의 정상화 70 참고문헌 73 | - |
dc.relation.isPartOf | 통일법제연구, 18-19-③-03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