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정기간행물 등의 최신발간물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연구보고서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Legislative Improvement for Removing Administrative Conflicts
  • 발행일 2004-11-30
  • 페이지 155
  • 총서명 [연구보고] 04-03
  • 가격
  • 저자 한귀현
  • 비고
미리보기 다운로드

최근 우리 사회에서 최대의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사회갈등과 그 해결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갈등의 의미는 '인간은 갈등적 존재이다'(homo conflitus)라는 명제에서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갈등은 어느 사회에나 어느 때나 존재하는 것이며, 갈등의 존재 자체는 불가피한 긴장을 상징하며 변화와 발전을 촉진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21세기를 맞이하여 우리 사회는 미증유의 전환, 끊임없는 변용에 직면하고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정치갈등, 노사갈등, 세대간갈등, 이념갈등 등을 비롯하여 환경, 교육, 여성, 농촌 등 거의 전 영역에 걸쳐서 심각하고 제어하기 곤란할 정도로 사회갈등이 분출되고 있다. 특히 행정상의 갈등과 관련하여서는 이른바 개발과 보전의 대립, 공공시설 특히 위험·혐오시설 내지 비선호시설의 입지선정을 둘러싸고 갈등이 현저하게 표출되고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행정상의 갈등은 지방자치의 본격화에 수반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간의 갈등과 같이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요컨대 세계화, 지방화, 민주화, 정보화 등에 수반하여 다종다양하고 복합적인 사회적 갈등이 분출됨에 따라 갈등의 해소 내지 예방은 국가의 최우선과제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하여 우리의 현행 법제는 국토계획법제, 환경법제, 보상법제, 혐오·기피시설 관련법제 등 나름대로 정비된 법체계를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형량원칙의 채용, 계획확정절차의 도입, 그리고 주민참여의 실질화 등 개선하여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뿐만 아니라 현행 행정상의 갈등해소법제는 기본적으로는 행정상의 갈등의 사후조정적인 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복합적인 형태로 분출되고 있는 행정상의 갈등을 해소 내지 예방하기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생각건대, "예방은 구제보다 낫다"(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라는 법격언은 행정상의 갈등해소에 있어서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행정상의 갈등에 대한 인식의 근본적인 전환과 아울러 그러한 갈등을 사전예방할 수 있는 국가적인 행정갈등관리법시스템의 구축이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상의 갈등해소에 관련한 미국, 독일, 일본의 법제의 검토에 기초하여 가칭 "갈등관리기본법"의 제정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무릇 21세기의 국가경쟁력은 물론 국민화합과 행정의 효율성은 행정상의 갈등을 얼마나 해소하고 예방하느냐의 여하에 달려 있다고 본다. 더 늦기 전에 행정상의 갈등을 사전예방할 수 있는 법시스템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국문요약 3
Abstract 5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목적 9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11
제2장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현행 법제의 분석 13
제1절 행정상의 갈등의 개념과 전개모델 13
1. 행정상의 갈등의 개념과 유형 13
2. 갈등(분쟁)의 전개모델 16
제2절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현행 법제의 분석 24
1. 현행 갈등해소(관리)법제와 문제점 24
2. 갈등관리를 위한 분쟁조정제도 26
제3절 행정상 갈등의 주요사례의 검토 35
1. 한탄강댐건설관련 갈등사례 35
2. 부안 핵폐기물처리장건설 갈등사례 42
3. 새만금간척사업 갈등사례 44
제4절 소 결 55
제3장 행정상의 갈등해소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분석 57
제1절 미 국 57
1. 개 설 57
2. 행정분쟁해결법의 체계와 주요내용 60
3. 행정분쟁해결법과 대체적 분쟁해결제도 66
제2절 독 일 89
1. 개 관 89
2. ADR의 도입계기와 ADR의 상황 90
3. 독일에 있어서 ADR의 불활발과 그 원인 95
4. 행정분쟁해결을 위한 대안으로서의 조정 98
제3절 일 본 102
1. 서 102
2. 일본에 있어서 ADR의 발전 102
3. ADR의 문제점과 그 극복 108
4. 새로운 지위에 걸맞는 ADR의 형성 110
5. ADR기본법의 제정논의 111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30
제4장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133
제1절 갈등관리기본법의 제정필요성 133
제2절 갈등관리기본법의 체계와 주요내용 134
제3절 갈등의 예방과 해결의 원칙 136
제4절 갈등영향분석제도의 도입 137
제5절 갈등관리위원회의 설치 140
제6절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의 도입 141
제7절 갈등관리지원센터의 설치 144
제8절 갈등조정회의의 설치 145
제5장 결 론 147
참고문헌 149

의견쓰기 : 이름, 이메일, 의견등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이름
이메일
본서에 대한 의견, 저자에 대한 요망 등
공공누리 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
저자
관련보고서 [ *이 연구보고서의 관련 저자는 "한귀현" 입니다.]